교육자료실

SCUBAMALL

다이빙물리 다이빙생리 다이빙장비 감압이론 & RDF 기술과 환경 Other
적정 웨이트 무게 강조
james (211.♡.89.93) 25-01-22 13:30 30 hit

적정 웨이트 무게 강조

 

이미 여러 차례 적정 웨이트 무게에 대해 본 페이지에서 강조되어 왔습니다. 초보자의 경우 적정웨이트보다 가볍게 착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무겁게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우리가 배운대로라면 아시다시피 부력조절기의 공기를 전부 쏟아내기 전에 몸이 가라앉는다면 웨이트가 무거운 상태이고, 부력조절기의 공기를 모두 비웠는데도 가라앉지 않는다면 웨이트가 가벼운 상태이지만, 일부 초보 다이버들은 웨이트가 적정하거나 심지어 웨이트가 무거운 상태인데도 하강하기가 쉽지 않은 큰 원인 중에 하나는 BCD(Buoyancy Control/Compensate Device)의 공기를 전부 비우기에 적절한 상체 자세 유지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통상적으로 부력조절기의 공기를 모두 수축시키고 정상 호흡(Normal breathing)에서 수면이 눈높이에 이르면 적정 웨이트로 봐야 합니다. 나아가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슈트의 부력감소, 탱크가 가득 찬 후 줄어들 때의 공기통의 부력까지 계산 되어 있어야 하는데, 알루미늄 공기통의 크기는 약11L(80Cu.ft)로 가득 채운(207Bar) 탱크 분량의 공기 무게는 대략 2Kg(2639g)에 해당합니다. 공기통의 공기가 1Bar 줄어들 때 마다 10g씩 양성부력(Positive buoyancy)을 일으키므로 추가 웨이트를 공급해야 하지만 수중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력 조절기가 이를 대신 합니다.

 

강조 드렸다시피 웨이트가 무거운 상태에서는 1)공기 소모 증가, 2)유선형 자세 유지(Stream line) 불가, 3)바다 생태계 손상 위협, 4)스스로의 장비 손상 등의 단점으로 장점으로는 찾아볼 수 없는 경우입니다. 강사와 상의하여 절대적 적정웨이트를 찾는 방법이 그 어떤 다이빙기술보다 우선됩니다. 당장 이것부터 실행하십시오! 착용하는 장비가 바뀔 때마다 제일 먼저 웨이트 무게를 조절하고 그곳이 바다이건 잠수풀이건 상관없이~ 그리고 로그북에 정리해 두시면 상기 1)~4) 항목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어 이전보다 금방 다이빙이 수월해질 겁니다.

 

c8bd015351c743731a503d8e137754b8_1737520193_0331.jpg
끝으로 개인웨이트가 유리하지만 렌트의 경우 해외 리조트에서는 아직 파운드 단위의 웨이트를 준비해 둔 곳이 많습니다. 킬로그램과 파운드 환산법은 간단합니다. 킬로그램을 파운드로 변환시 킬로그램 곱하기 2.2를 계산하시면 되고, 파운드를 킬로그램으로 변환시 해당 파운드에 곱하기 0.45를 계산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면 2킬로그램을 착용하고 싶은데 리조트의 웨이트가 파운드 밖에 없을 경우 2곱하기 2.2는 4.4파운드이므로 4~5파운드 착용을 고려하시고 역시 8파운드를 착용하고 싶은데 마찬가지로 리조트에 킬로그램 웨이트 밖에 없을 경우 8곱하기 0.45는 3.6킬로그램 이어서 4킬로그램 착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이빙 횟수가 풍부하지 않아 파도, 야간, 얕은 수심에서의 긴장이 계실 경우 1파운드(0.45Kg) 정도 추가하실것을 권장 드립니다.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 강정훈 배상

 

네이버블로그: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 다음카페: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

밴드: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 페이스북: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

 

검색 창에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www.scubamall.kr) 또는 “스쿠바몰”을 치십시오!

PADI 5스타 최고등급 강사양성센터 080-272-1111/카카오 ID: IncheonScuba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적정 웨이트 무게 강조 james 31 2025-01-22
91 독이 있는 물고기 james 41 2025-01-13
90 조금과 사리 james 48 2025-01-07
89 지식있는 소비자가 되자! james 95 2024-12-02
88 상승을 위한 조건 3) james 809 2024-02-02
87 상승을 위한 조건 2) james 799 2024-02-02
86 상승을 위한 조건 1) james 775 2024-02-02
85 하강을 하기 위한 조건 james 819 2024-01-30
84 Ice diving(얼음밑) 줄 신호법 james 565 2024-01-23
83 다이빙 후 고도진입 james 527 2024-01-22
82 질병 전파를 피하기 위해 PADI® 및 EFR® 코스 진행시의 주의 사항 james 1,600 2020-04-05
81 공기를 적게 쓰려면? 3) james 1,928 2018-02-12
80 공기를 적게 쓰려면? 2) james 1,999 2018-02-12
79 공기를 적게 쓰려면? 1) james 1,916 2018-02-12
78 프리다이빙 활성화(Free Diving Activation)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 2,533 2015-10-09
대표상담, 장비 A/S 문의 : 080-272-1111 교육/강습문의 : 070-4106-7744 다이빙여행문의 : 070-8701-7744 잠수장비문의 : 032-526-7744 팩스전용 : 032-529-9111

회사소개 사이트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인천스쿠버다이빙클럽인천시 부평구 충선로 191 뉴서울쇼핑센터 306호james007@korea.com
대표 : 강정훈사업자등록번호 : 122-09-41283 통신판매신고번호 : 2007-3540061-30-2-00433
TOP